이번 주간에 정말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담임목사님이 호주로 출장을 가셔서 새벽기도회, 수요기도회, 오는 주일 오전 예배, 다음 주 수요기도회, 오후 예배인도와 설교를 해야 한다. 오늘은 너무 힘들었는지 새벽부터 식은땀과 몸살 기운이 있어서 병원에 가서 수액을 투입하고 왔다.
담임목사님께서 호주로 출장 가시던 길에 오는 주일 오전 예배 설교는 다가오는 한 해 감사주일(우리 교회는 추수 감사주일이라고 하지 않고 한 해 감사주일이라고 부른다)에 초점을 맞춰서 감사에 대해 설교를 하라고 주문하셨다. 나는 순종 잘하는 부교역자다.
오는 주일 오전 예배에 설교 본문은 누가복음 17장 11~19절이다.
복음서 가운데 누가복음에만 기록된 10명의 나병환자가 깨끗함을 받고, 그중 사마리아인 1명이 예수님께 고마움을 표시하는 본문이다. 이 본문을 통해서 참된 감사가 무엇인지 설교하고자 한다.
설교를 준비하면서 누가복음에 관한 많은 주석, 9권을 정독했다. 대부분 주석이 감사를 표한 한 사마리아인과 배은망덕한 9명의 유대인의 이야기로 해석했다. 그런데 내가 참고한 책 가운데 주석이 아닌 다른 2권의 책은 1세기 유대인들의 문화를 설명하면서 ‘명예와 수치’라는 측면에서 감사를 다룬다. 오늘날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감사의 표현과 1세기 팔레스타인 유대인들이 생각하는 감사는 다른 측면이 있다.
1세기 팔레스타인 유대인들은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자제했다. “어떤 사람이 도와주었을 때에 감사하다고 하는 것은 “나는 앞으로 더 이상 당신에게 신세를 지지 않겠습니다”라는 뜻이다. 그 말은 계속해서 내집단과의 관계에 대한 단절을 의미하며, 깊어가는 우정의 가능성에 대해서 찬물을 끼얹는 격이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유대인들은 감사를 받지 않는다.”- 신약시대로 가는 시간여행, 브루스 J. 맬리나, 은성.
여기에 ‘호혜관계(reciprocity)’의 원리를 이 본문에 적용할 수 있다. “의뢰인과 그 의뢰인이 필요로 하는 후원자들(patrons)을 연결시키는 방법을 아는 사람들을 중개인(brokers, 중개인에 대한 헬라어 명칭은 “중재자(mediator)이다)이라고 불린다. 하나님은 지중해 세계에서 그를 예배하는 자와의 전형적인 후원자-예속자(patron-client) 관계로 묘사된다.”- 신약의 세계: 문화 인류학적인 통찰, 브루스 J. 말리나, 솔로몬.
이상에 2책을 토대로 누가복음 17장 11~19절을 설교하기 위해 설교문 개요는 다음과 같이 작성했다.
본문주제: 사마리아인 나병환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의 완전함을 믿음으로 고백했다.
설교목적: 그리스도인의 참된 감사는 현상적인 결과에 대한 것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에 대한 바른 믿음에 있음을 알게 하여 항상 감사의 삶을 살게 한다.
서론: 감사, 고맙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이 말은 언제 사용하는가? 내가 누군가에게, 무엇인가에 감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스도인의 감사는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설교주제: 성도는 우리를 향한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에 참된 믿음의 감사를 해야 한다.
- 깨끗함을 받은 10명의 나병환자
- 감사를 표한 한 명의 사마리아인
- 예수 그리스도의 평가: 믿음
결론: 성도는 참된 믿음으로 참된 감사의 삶을 살아야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첫 번째 대지에서는 본문의 내용을 설명하면서 당시의 나병의 특징(병의 특징과 그 병으로 인한 사회적인 격리의 의미)을 설명하고,
두 번째 대지에서는 10명이 깨끗함을 받았지만 왜 단 한 명 사마리아인만이 예수 그리스도께 감사했는지를 1세기 유대 사회의 감사 개념으로 설명하고,
세 번째 대지에서는 한 명 사마리아인의 감사가 참된 믿음의 행위였기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가 행한 감사 자체를 칭찬하신 것이 아니라, 그의 믿음을 칭찬하신 것을 강조한다.
결론으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10명의 나병환자를 깨끗하게 하신 것과 한 명 사마리아인의 감사 반응을 통해서 성도의 감사의 삶은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중보 사역에 기초하며, 그 중보 사역으로 인해 성도는 모든 삶에서 유일한 위로가 되는 삼위 하나님께 감사하며 살아야 함을 설교한다.
'설교 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127편 (0) | 2015.12.15 |
---|---|
십계명에서 그리스도 설교하기 - John M. Frame, "The Doctrine of the Christian Life" 중에서 (0) | 2014.07.05 |
정함과 부정함 (0) | 2013.10.17 |
그 선지자 예수 그리스도 (0) | 2013.10.11 |